한명이 아닌 각각 다른 작가들의 영화. 그것이 하나로 뭉쳐진 영화에 대해서 저는,

 일전에 "쓰리,몬스터"(이하 쓰리몬) 라는 영화에 대해 들으며 알게되었지요.

 뭐 사실은 쓰리몬의의 경우 한일합작 영화인데다 고어적인 면모가 많은것으로 알아

 구지 극장에서 보지는 않았습니다만, 이번경우는 레몬이 "보고싶어!" 하는 바람에 보게되었지요.


 첫 인상에서 각각의 3개의 에피소드는 "인류멸망"에 대한 암시 혹은 "교훈"적인 내용을 담지 않을까? 

 하는 단순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만, 역시나 독립영화 같이 만든 이 영화는

 각각 에피소드 별로 소소한 잔재미 그리고 필요할때 묵직하게 들어오는 많은 시사점들.

 즐겁게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에피소드별로 하나하나 생각을 써내려가 보도록 하지요.

 p.s 네타가 될만한 부분은 닫아두었으니 영화보신후 읽어보셔도 됩니다.


Segment 1 - <멋진 신세계>

대략의 줄거리 : 괴 바이러스의 출현과 확산에 의한 인류멸망에 대해서

라고 합니다. 괴 바이러스라고 말씀드리면 조금 와닿지 않으실텐데, 사실은 "좀비물"에 가깝습니다.

포털에서 간단히 검색해보시면 아실수있듯이, 실제로 플롯 자체는 봉준호 감독의 "괴물"과 유사합니다.

인간의 이기문명의 발달과 그 그늘에 있는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오염. 그리고 재앙.


but!! 이 영화는 단순히 환경오염에만 촛점을 맞추지 않았다는것이 욧점이지요.

그리고 깨알같은 까매오와 순간순간 기지를 발휘하는 유머들

전체 3편의 에피소드 중에서는 가장 눈에 띄지않는 에피소드였는데요,

반면에 "좀비물" 이라는 장르때문에 시각효과는 가장 부담스러웠습니다.

아 그렇다고 좋지않았다 라는건 아니구요. 한국식 좀비물 잘 봤습니다. <<


그럼 네타포함 감상




Segment 2 - <천상의 피조물>

대략의 줄거리 : 득도한 로봇과 그를 옹호하는 절의 스님들. 그리고 그를 파괴하려는 회사


로봇? 하고 놀라시는 분들, 혹은 이 로봇때문에 호기심이 생기시는 분들도 많으시더라구요.

그런데 저는 이 로봇 덕분에 조금더 몰입할 수 있었던거 같습니다.

저도 공학자이다보니까, "공학윤리"라는 부분이 참으로 미묘하다는 사실을 알고있거든요.

그리고 몇몇 영화에서 비추어진 "컴퓨터의 역습"이라는 단어도 이제는 전혀 어색하지도 않고,

"아, 그럴법하다"라는 분위기가 많이 자리잡았으니까, 오히려 저희같은 공학도들은

더욱더 이런 부분은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공학자로서의 한계를 아는것도 저희고, 그래서 생각이 편협해지는것도 저희기때문이죠.

그래서 "인공지능"을 가지고 혼자 생각하고 느끼게 되는 로봇이 개발되게 되면,

많이 어려워질것입니다. 아마 생명에 대한 인식도 쉽게 바뀌어버리고

좋은 면도 있는 대신 나쁜면도 있을것이겠죠.


그런 의미에서 이번 에피소드는 그러한 윤리적인 상황을 기반으로 한 인류에대한

얘기였습니다.

p.s 박해일 목소리 쩝니다 ㅋㅋㅋㅋ


네타주의!




Segment 3 - <해피 버스데이>

대략의 줄거리 : 당구공 모양의 거대해성! 지구는 곧 멸망할지도 모른다. 제 2인류의 탄생


플롯상으론 가장 황당합니다. 엄청 황당해요.

가장 흔한 소재인 행성충돌입니다. 거기다 가족들이 나오죠. 식상해보입니다.

거기다 소개된 줄거리에 있을거 없을거 다 나와있어요.

공상과학 SF를 반쯤 섞어둔듯한 전개가 당연히 나오겠죠.


사실 이번 에피소드는 결말 말고는 쪼끔 엉성합니다.

에피소드 1번은 차라리 좀비라도 촥촥 나왔지 이건 그냥 B급 SF에요.

사실 겉으로 보는 내용에서는 가장 혹평을 줄 수 밖에 없을듯 합니다.


물론 마지막의 메시지에서는 희망적인 결말로 훈훈해집니다.

아아. 하고 조금은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새로운 시작. 그리고 노력하고 앞으로 나아갈 생각을 말이죠.


그래도 좀 심했어요... 아..


네타주의


결과적으로,

3편의 에피소드가 모두 다른 감독의 작품이였다면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영화였습니다.

김지운 감독의 "천상의 피조물"같은 경우는 치밀한 플롯과 반전까지 곁들인 알찬 에피소드였는데

그 반면 임필성 감독의 나머지 두 에피소드는 "장르"에 치중되거나 조금 산만한 면을

도저히 지울수가 없었네요. 물론 까메오와 해학을 섞었던것이 기발했지만,

너무 상대적인 분위기였다는 느낌까지 들정도라. 조금은 진부한 한국영화가 되지않았나 하는

평가를 내려봅니다.


오히려 첫 에피소드의 뉴스와 현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옛날 영화인 "인디팬던스데이"가 생각이 났습니다.

명작이지요 암암. 지금 제가 기억하는한 가장 대단한 재난영화였습니다 앞으로도 최고로 꼽을


다음번은 어벤져스를 보고와서 써야지!




설정

트랙백

댓글